13억 중국인들은 어디서, 어떤 물건을 사는가
국내 플랫폼 경쟁이 여느 때보다 과열된 현 시점에,
광활한 중국시장으로 눈을 돌려보자.
(1) 淘宝(타오바오) : taobao.com
# 중국 인터넷 그룹 알리바바(阿里巴巴)가 운영하는 중국 최대의 인터넷 쇼핑몰
# 한국 G마켓 전성기 이상으로 중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
# 중국 C2C 시장에서 타오바오의 시장점유율은 80% 이상
# 한국 내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짐
# 주 타겟은 중국이나 홍콩, 마카오 등 중화권 소비자
(2) Alibaba(알리바바) : 1688.com
# 타오바오의 도매시장
# 1688은 중국어 발음이 '야오리우빠빠'로, 알리바바와 유사함
# 주 타켓은 중국 내수용 도매 업체
(3) Alibaba(알리바바) : Alibaba.com
# 타오바오의 도매시장
# 알리바바 그룹의 원형
# 주 타켓은 글로벌 수출 대상 도매 (무역) 상인
(4) 天猫(티엔마오) : Tmall.com
# 타오바오의 B2C 쇼핑 플랫폼
# 동종업계 최대 규모 최대 역사를 자랑함
# 타오바오에서 쇼핑 구매 시 자동으로 티몰로 넘어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
# 한국의 네이버 쇼핑과 유사한 개념
# 판매자 배송 시스템이며, 종종 가짜가 판매 됨
(5) 京东 (징동): http://www.jd.com
# 티엔마오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 구조였으나, 현재는 대부분 자체 구매 후 판매 방식으로 변경
# 자체 배송 시스템 구축
# 티엔마오에 비해 입점 비용이 저렴
# 자체 구매 후 판매 상품에 한해 고객에게 캐시백 서비스를 제공
# 티엔마오에 비해 입점 기업 수 및 상품 종류가 적음
(6) 当当网 (땅땅왕): www.dangdang.com
# 중국 최대의 도서판매 사이트
# (4) 티엔마오 = 티몰에 입점 중
# 네이버 쇼핑으로 교보문고/ 영풍문고/ 인터파크도서 등을 쇼핑하는 것과 유사한 개념
# 책에서 시작해 옷, 유아용품 등으로 확장 중
# 자체 배송 시스템 일부 보유
(7) 苏宁(쑤닝): www.suning.com
#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제품 유통상 TOP2 중 하나
# 입점비 무료
# 온오프 상점 협업
# 상품 평가 우수
# 브랜드 인지도 높음
# 자체 결제 시스템 보유
# 일부 지역 자체 배송망 보유
# 의류 확장 중
(8) 国美电器网 (구어메이): www.gome.com.cn
#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제품 유통상 TOP2 중 하나
# 쑤닝과 같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시장 진입한 케이스
# 브랜드 인지도 높음
# 자체 배송망 보유
# 가전이 가장 유명
상기 여덟 곳의 사이트는 각각 위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.
사이트 별 검색 창에서 东大门으로 검색하면 더욱 많은 동대문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예를 들어 타오바오에서 검색 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말 한 구절로 글을 정리하고자 한다.
꽁씨파차이 !! (부자되세요!!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