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NS
Social Network Service 의 약자로, 우리나라의 카카오톡, 라인, 페이스북, 트위터, 유튜브 등이 있답니다.
지난 번 중국의 대표적인 SNS인 웨이신과 웨이보에 대해서 글을 쓴 적 있죠.
웨이신 가입방법 링크 : http://www.ddmax.co.kr/index.php?mid=board_China&document_srl=10314
웨이보 가입방법 링크 : http://www.ddmax.co.kr/index.php?mid=board_China&document_srl=10376
13억 인구가 살아가는 거대한 중국시장에 SNS가 단 두개만 있을리 없죠.
점유율이 높은 다른 SNS에 대해서도 한 번 알아보아요.
# 중국 텐센트사에서 개발한 중국 최초의 메신저서비스
# 메세지 뿐만 아니라 한국 싸이월드 미니홈피와 유사한 플랫폼에서 자신만의 공간 생성 가능
웨이보
# 중국의 트위터
# 작다는 의미의 웨이 + 블로그 보커의 보 가 합쳐진 네이밍
# 정부 및 공공기관의 공식계정 약 30만개/ 기업계정 약 25만개 등 시장점유율이 큼
웨이신 (영문명 위쳇)
# 중국 텐센트사에서 개발한 이용자 최대 SNS 메신저
# 메신저 연계 서비스, 자동차 예약 서비스 등 부가서비스 풍부
# 일반계정과 별도로 기업과 공공기관이 이용가능한 공중계정으로 홍보 가능
# 한국의 카카오톡 + 카카오스토리와 유사함
# 모바일 결제 시스템 '위쳇페이' 제공
메이파이
# SNS컨텐츠 유통 플랫폼 : 동영사
# 한국의 아프리카TV와 유사함
# 실시간 동영상 시청 및 소통 가능
# 웨이신, 웨이보 등 여타 SNS와 연동성이 우수함